집단 우울증 앓는 대한민국 부끄럽도록 푸른 하늘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라이더 작성일25-05-08 조회37회관련링크
본문
길 길잃어버렸습니다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길에 나아갑니다 돌과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1941 9 31 걸음마 단계를 거친 후 모든 인간은 자신의 길과 마주하게 됩니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정해진 길이든 우연한 길이든 사람은 각자의 길을 걷는다 김소월은 시 길 에서 수많은 길이 갈라져 있지만 자신이 갈 길은 어디에도 없다고 탄식했습니다 일제강점기 터전을 잃고 떠도는 유랑민의 심정을 노래한 것입니다
한용운은 나의 길 에서 세상에 길이 많지만 자신에게는 임의 품에 안기는 길과 죽음의 품에 안기는 길 두 길만 있다고 했습니다 지사다운 결의를 보여주는 시구다 윤동주도 길 에서 자신의 길을 탐색합니다 무엇을 어디에 잃었는지 모르지만 분명히 무언가를 잃었기에 길을 찾아간다고 했습니다 e편한세상 지축 센텀가든
잃어버린 무엇을 찾기 위해 길을 걷는데 그가 걷는 길은 그렇게 편안하지 않습니다 길에는 풀도 숲도 없고 돌만 연달아 있습니다 돌 을 세 번이나 반복해서 그가 걷는 길이 삭막하고 무료하다는 사실을 드러냈습니다
돌담에 쇠문까지 굳게 닫혀 있으니 출구 없는 폐쇄 상태의 막막함까지 전달됩니다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은 다시 아침으로 이어져 출구 없는 순환의 회로가 반복됩니다 이처럼 답답하게 길을 걷던 그는 돌담을 더듬다 마침내 눈물짓는다 자신의 한계를 자각하며 절망감을 느낀 것입니다 그리고 하늘을 쳐다보며 부끄럽게 푸릅니다 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하늘은 윤동주가 지향하는 절대적 순수의 공간입니다 윤동주는 이 시기 키르케고르의 철학에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엘루크 방배 서리풀 키르케고르는 인간이 죽음에 이르는 병 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아 성찰이 필요하고 진정한 자아를 찾을 때 비로소 절대자에 귀의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윤동주가 푸른 하늘을 보고 느낀 부끄러움은 절대적 존재 앞에서 느끼는 부끄러움입니다
시인은 부끄러움을 느끼면서도 주저앉지 않고 돌길을 계속 걷는다 그 이유를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 이라고 했습니다 자기가 찾아야 할 진정한 자아가 담 저쪽에 있다는 뜻입니다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라는 마지막 구절로 미루어보면 자신이 찾으려는 대상이 바로 나 자신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윤동주는 진정한 자아를 찾으려는 끊임없는 탐구의 자세를 시로 표현한 것입니다 자기가 어떤 존재인지 분명히 알아야 올바른 행동이 결정되고 바른 행로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집단 우울증을 앓고 있는 듯합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이유로 커다란 상실감에 빠져 있고 뜻하지 않게 솟아나는 분노를 조절하지 못합니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과연 어떤 존재인가 우리는 어떤 길을 걷고 있는가 그 길은 정당한 길인가 자신이 옳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저 사람은 과연 자기 생각을 제대로 말하고 있는 것인가 알 수 없는 허깨비 놀음에 넘어가 남의 말을 대신 옮기고 있지는 않은가 지금보다 더 암울한 시대를 살았던 윤동주는 앞날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그 억압과 굴욕의 시대에도 담 저쪽에 있는 진정한 나 를 찾아 풀 한 포기 없는 길을 걷는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잃었고 무엇을 찾고 있는가 윤동주처럼 하늘을 올려다보며 마음을 가다듬고 자신이 잃은 것을 찾고 삶의 이유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달력에 없는 날짜 9월 31일 부끄러움 을 처음 언급하다 대부분 작품에서 윤동주는 시를 쓰면 완성한 날짜를 작품 끝에 적었습니다 중학교 3학년 때 쓴 시부터 일본 유학기에 쓴 마지막 시까지 이 관례는 이어졌습니다
시는 그에게 사색과 행동의 기록이기에 시간이 흐른 시점에서 과거의 심정이나 상황을 돌이켜보기 위해 날짜를 기록했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시는 자신을 반성하는 일기와 같습니다 시 길 은 낱장으로 남아 있는 원고지에 세로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시 끝에 창작 시점을 1941 9 31 로 썼는데 날짜를 지웠다가 다시 이 날짜를 썼다 9월은 30일까지 있어서 31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째서 윤동주는 날짜를 수정하면서도 다시 이 잘못된 날짜를 적은 것일까 당시는 2학기가 10월에 시작되었습니다 졸업을 앞둔 4학년 2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이어서 윤동주로서는 9월의 맨 마지막 날 썼음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시상의 마무리를 짓는다는 강박관념이 달력에 없는 1941년 9월 31일 을 불러낸 것일까 윤동주의 시에서 자신의 태도와 관련지어 부끄러움 이 언급된 것은 이 시가 처음입니다 이후 부끄러움 에 해당하는 시구가 유난히 많이 사용되면서 윤동주 시의 핵심 정서로 자리 잡는다 그래서 나는 윤동주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달력 안에 존재하지 않는 1941년 9월 31일을 윤동주가 부끄러움을 처음 인식하고 시에 최초로 기록한 날짜로 기억합니다
정지용 詩에 많은 영향 받아 압천 읽고 걸작이라 적기도 윤동주는 정지용의 시를 애독했고 그의 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지용 시집 은 1935년 10월에 간행되었는데 이때 윤동주는 평양의 숭실중학교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이 시집의 명성을 들은 윤동주는 평양의 도서관에서 시집을 읽었을지 모른다
윤동주는 다섯 달 후 이 시집을 소장하게 되는데 시집 내지에 동주 장서 1936 3 19 라고 자필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뿐 아니라 시를 정독하며 여러 가지 표시와 메모를 남겼습니다 시 압천 을 읽고 걸작 이라고 메모했고 다른 시의 여러 구절에 자신의 감상이나 시어의 뜻을 적었습니다
그는 정지용 시의 한 구절 한 구절을 깊이 음미하며 마음의 양식으로 삼았습니다 이런 까닭에 윤동주의 초기 시에는 정지용 시의 어구나 표현을 활용하여 창작의 동력으로 삼은 구절이 많다 1938년을 넘어서면서 정지용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 사유에 바탕을 둔 성숙한 표현을 구사했습니다
정지용에 관한 애호는 오래도록 이어져 신문에 발표된 정지용의 시와 산문 여러 편을 직접 스크랩해 두었고 1941년 9월 정지용의 두 번째 시집 백록담 이 출간되자 바로 사서 정독했습니다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때 북아현동에 하숙했는데 친구와 함께 근처의 정지용 자택을 방문했습니다 이준익 감독의 영화 동주 에는 이 장면이 다소 극적인 방식으로 연출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정지용 집에 많은 문학 지망생이 방문했기 때문에 정지용은 윤동주를 기억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해방 후 윤동주의 유족이 정지용에게 유고 시집의 서문을 써 달라고 부탁했을 때 그는 도시샤대학의 불행한 후배 윤동주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습니다 해방 공간의 격동 속에 위축되어 있던 그는 일 년 가까이 고민하다가 1947년 12월 28일에 간신히 서문을 완성했습니다 무시무시한 고독에서 죽은 윤동주를 추도하며 일적 에게 살을 내던지고 뼈를 차지했다 는 뜻깊은 말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정지용은 6 25의 혼란 속에 행방불명되어 작품만 남기고 문학사의 현장에서 사라졌습니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5분 칼럼 구독하기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1941 9 31 걸음마 단계를 거친 후 모든 인간은 자신의 길과 마주하게 됩니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정해진 길이든 우연한 길이든 사람은 각자의 길을 걷는다 김소월은 시 길 에서 수많은 길이 갈라져 있지만 자신이 갈 길은 어디에도 없다고 탄식했습니다 일제강점기 터전을 잃고 떠도는 유랑민의 심정을 노래한 것입니다
한용운은 나의 길 에서 세상에 길이 많지만 자신에게는 임의 품에 안기는 길과 죽음의 품에 안기는 길 두 길만 있다고 했습니다 지사다운 결의를 보여주는 시구다 윤동주도 길 에서 자신의 길을 탐색합니다 무엇을 어디에 잃었는지 모르지만 분명히 무언가를 잃었기에 길을 찾아간다고 했습니다 e편한세상 지축 센텀가든
잃어버린 무엇을 찾기 위해 길을 걷는데 그가 걷는 길은 그렇게 편안하지 않습니다 길에는 풀도 숲도 없고 돌만 연달아 있습니다 돌 을 세 번이나 반복해서 그가 걷는 길이 삭막하고 무료하다는 사실을 드러냈습니다
돌담에 쇠문까지 굳게 닫혀 있으니 출구 없는 폐쇄 상태의 막막함까지 전달됩니다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은 다시 아침으로 이어져 출구 없는 순환의 회로가 반복됩니다 이처럼 답답하게 길을 걷던 그는 돌담을 더듬다 마침내 눈물짓는다 자신의 한계를 자각하며 절망감을 느낀 것입니다 그리고 하늘을 쳐다보며 부끄럽게 푸릅니다 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하늘은 윤동주가 지향하는 절대적 순수의 공간입니다 윤동주는 이 시기 키르케고르의 철학에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엘루크 방배 서리풀 키르케고르는 인간이 죽음에 이르는 병 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아 성찰이 필요하고 진정한 자아를 찾을 때 비로소 절대자에 귀의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윤동주가 푸른 하늘을 보고 느낀 부끄러움은 절대적 존재 앞에서 느끼는 부끄러움입니다
시인은 부끄러움을 느끼면서도 주저앉지 않고 돌길을 계속 걷는다 그 이유를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 이라고 했습니다 자기가 찾아야 할 진정한 자아가 담 저쪽에 있다는 뜻입니다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라는 마지막 구절로 미루어보면 자신이 찾으려는 대상이 바로 나 자신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윤동주는 진정한 자아를 찾으려는 끊임없는 탐구의 자세를 시로 표현한 것입니다 자기가 어떤 존재인지 분명히 알아야 올바른 행동이 결정되고 바른 행로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집단 우울증을 앓고 있는 듯합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이유로 커다란 상실감에 빠져 있고 뜻하지 않게 솟아나는 분노를 조절하지 못합니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과연 어떤 존재인가 우리는 어떤 길을 걷고 있는가 그 길은 정당한 길인가 자신이 옳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저 사람은 과연 자기 생각을 제대로 말하고 있는 것인가 알 수 없는 허깨비 놀음에 넘어가 남의 말을 대신 옮기고 있지는 않은가 지금보다 더 암울한 시대를 살았던 윤동주는 앞날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그 억압과 굴욕의 시대에도 담 저쪽에 있는 진정한 나 를 찾아 풀 한 포기 없는 길을 걷는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잃었고 무엇을 찾고 있는가 윤동주처럼 하늘을 올려다보며 마음을 가다듬고 자신이 잃은 것을 찾고 삶의 이유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달력에 없는 날짜 9월 31일 부끄러움 을 처음 언급하다 대부분 작품에서 윤동주는 시를 쓰면 완성한 날짜를 작품 끝에 적었습니다 중학교 3학년 때 쓴 시부터 일본 유학기에 쓴 마지막 시까지 이 관례는 이어졌습니다
시는 그에게 사색과 행동의 기록이기에 시간이 흐른 시점에서 과거의 심정이나 상황을 돌이켜보기 위해 날짜를 기록했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시는 자신을 반성하는 일기와 같습니다 시 길 은 낱장으로 남아 있는 원고지에 세로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시 끝에 창작 시점을 1941 9 31 로 썼는데 날짜를 지웠다가 다시 이 날짜를 썼다 9월은 30일까지 있어서 31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째서 윤동주는 날짜를 수정하면서도 다시 이 잘못된 날짜를 적은 것일까 당시는 2학기가 10월에 시작되었습니다 졸업을 앞둔 4학년 2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이어서 윤동주로서는 9월의 맨 마지막 날 썼음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시상의 마무리를 짓는다는 강박관념이 달력에 없는 1941년 9월 31일 을 불러낸 것일까 윤동주의 시에서 자신의 태도와 관련지어 부끄러움 이 언급된 것은 이 시가 처음입니다 이후 부끄러움 에 해당하는 시구가 유난히 많이 사용되면서 윤동주 시의 핵심 정서로 자리 잡는다 그래서 나는 윤동주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달력 안에 존재하지 않는 1941년 9월 31일을 윤동주가 부끄러움을 처음 인식하고 시에 최초로 기록한 날짜로 기억합니다
정지용 詩에 많은 영향 받아 압천 읽고 걸작이라 적기도 윤동주는 정지용의 시를 애독했고 그의 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지용 시집 은 1935년 10월에 간행되었는데 이때 윤동주는 평양의 숭실중학교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이 시집의 명성을 들은 윤동주는 평양의 도서관에서 시집을 읽었을지 모른다
윤동주는 다섯 달 후 이 시집을 소장하게 되는데 시집 내지에 동주 장서 1936 3 19 라고 자필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뿐 아니라 시를 정독하며 여러 가지 표시와 메모를 남겼습니다 시 압천 을 읽고 걸작 이라고 메모했고 다른 시의 여러 구절에 자신의 감상이나 시어의 뜻을 적었습니다
그는 정지용 시의 한 구절 한 구절을 깊이 음미하며 마음의 양식으로 삼았습니다 이런 까닭에 윤동주의 초기 시에는 정지용 시의 어구나 표현을 활용하여 창작의 동력으로 삼은 구절이 많다 1938년을 넘어서면서 정지용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 사유에 바탕을 둔 성숙한 표현을 구사했습니다
정지용에 관한 애호는 오래도록 이어져 신문에 발표된 정지용의 시와 산문 여러 편을 직접 스크랩해 두었고 1941년 9월 정지용의 두 번째 시집 백록담 이 출간되자 바로 사서 정독했습니다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때 북아현동에 하숙했는데 친구와 함께 근처의 정지용 자택을 방문했습니다 이준익 감독의 영화 동주 에는 이 장면이 다소 극적인 방식으로 연출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정지용 집에 많은 문학 지망생이 방문했기 때문에 정지용은 윤동주를 기억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해방 후 윤동주의 유족이 정지용에게 유고 시집의 서문을 써 달라고 부탁했을 때 그는 도시샤대학의 불행한 후배 윤동주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습니다 해방 공간의 격동 속에 위축되어 있던 그는 일 년 가까이 고민하다가 1947년 12월 28일에 간신히 서문을 완성했습니다 무시무시한 고독에서 죽은 윤동주를 추도하며 일적 에게 살을 내던지고 뼈를 차지했다 는 뜻깊은 말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정지용은 6 25의 혼란 속에 행방불명되어 작품만 남기고 문학사의 현장에서 사라졌습니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5분 칼럼 구독하기